728x90 반응형 전기이론58 또리's 전기이론 18. 커패시턴스 1. 커패시턴스 1) 정전유도 - 정전유도 대전하지 않은 도체 가까이 대전체를 접근시키면 가까운 부분에 다른 종류의 전하가, 먼 부분에 같은 종류의 전하가 발생합니다. 이떄 발생한 정, 부의 전하는 서로 같습니다. 대전체를 다시 멀리하면 도체에 발생되었던 전하가 처음의 무대전 상태가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정전유도라고 합니다. 정전유도된 도체 B를 손으로 접촉하면 왼쪽의 음전하는 대전체에 끌려 있으나 오른족의 양전하는 대지의 전자와 결합하여 중화됩니다. 이와 같이 대지에 도체를 연결시키는 것을 접지라고 합니다. 2) 커패시턴스와 콘덴서 -커패시턴스(정전용량) 두 장의 도체판(전극)을 마주보게하여 전원에 접속하면, 전원의 양극으로부터는 양전하가, 음극으로부터는 음전하가 각각 m, n 전극 위에 나타나게 됩.. 2023. 5. 2. 또리's 전기이론 17. 전장2/커패시턴스 1. 전장 3) 도체와 전기저항 전자에 균인할 전장 E가 가해지면 전장의 반대방향, 즉 (-E) 방향으로 전자가 가속되는데 이를 드리프트라고 합니다. 드리프트 속도 u [m/s]로 표시하며 u와 E의 비 μ=u/E [m^2/V*s]를 전자의 이동도라고 합니다. 도체 내의 전류 I는 u로 이동하는 전자의 흐름이며 단면적 A [m^2], 전류밀도 J [A/m^2] 전자수 n개일 때, J=I/A [A/m^2] J=neu=ne*μE=σE 즉 σ=neu [V/m]이며, 전기 전도율이라고 합니다. 도체 내에서의 전자의 평균 이동속도는 상온에서 비교적 느리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불규칙적인 열운동은 증가하므로 전하의 이동률은 감소하며 전도율 또한 감소합니다. 따라서, 금속도체는 온도의 증가에 따라 저항이 증가하는 .. 2023. 5. 2. 또리's 전기이론 16. 전장1 1. 전장 1) 전장의 세기 - 쿨롱의 법칙 ㄱ. 대전 현상 : 유리막대를 옷에 마찰시키면 종이 등의 물체를 끌어당깁니다. 이떄 유리와 옷감은 대전되었다고 하며 대전된 전기의 양을 전기량 또는 전하라고 합니다. ㄴ. 쿨롱의 법칙 : 전하 사이에는 흡인력 또는 반발력이 생기는데 이를 정전력이라고 합니다. 또한, 정전력은 두 전하를 연결한 일직선상에 있습니다. 두 점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력의 크기는 두 전하의 곱에 비례하고, 전하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점전하의 양을 Q1,Q2 [C], 그 사이의 거리를 r [m]라 하면, 정전력의 크기 F는 다음과 같습니다. F=(1/4πε)*Q1Q2/r^2 [N] =(1/4πε0εs)*Q1Q2/r^2 [N] 진공중에서 F=(1/4πε0)*Q1Q2/r^2 .. 2023. 5. 1. 또리's 전기이론 15. Laplace 변환/ 전기와 자기 1. Laplace 변환 1) 정의 F(S)=L[f(t)]=∫(0~∞)f(t)*e^-stdt 2) 중요함수의 라플라스 변환 - 단위계단 함수 U(t) u(t)=1인 함수 F(S)=L[u(t)]=∫(0~∞)1*e^-stdt=-1/s*e^-st=1/s - 지수감쇠 함수 e^-at F(S)=L[e^-at]=∫(0~∞)e^-at*e^-stdt =∫(0~∞)e^-(s+a)tdt =-1/(s+a)*e^-(s+a)t=1/(s+a) - 정현함수 sinwt {sinwt=(1/2j)*(e^jwt-e^-jwt)} F(S)=L[sinwt]=∫(0~∞)sinwt*e^-stdt=∫(0~∞)(1/2j)*(e^jwt-e^-jwt)*e^-stdt =1/2j∫(0~∞)(e^-(s-jw)t-e^-(s+jw)t)dt =1/2j{1/(s-j.. 2023. 5. 1.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