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기이론55

또리's 전기이론 21. 자장3 1. 자장 3) 자기회로 - 전장과 자장의 비교 기전력 전장의 세기 전기저항 전속밀도 도전율 V [V] E=V/l [V/m] R=l/σS D=εE [C/m^2] σ, K 기자력 자장의 세기 자기저항 자속밀도 투자율 F=NI [AT] H=F/l [A/m] Rm=l/μA B=μH [Wb/m^2] μ 4) 암페어의 주회적분의 법칙과 자장의 계산 - 암페어의 주회적분의 법칙 전류 I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장 중에서 자장의 방향을 따라 전류 I의 주위를 일주하는 경로를 취할 때 이 경로 각 부분의 자장의 크기 H와 그 부분의 길이 △l의 곱 H△l의 경로 전체에 대한 합은 전류 I와 같습니다. 이것을 암페어의 주회적분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H1l1+H2l2+ ··· + HnIn=I 도선의 권수가 N인 경우 I는 N.. 2023. 5. 4.
또리's 전기이론 20. 자장2 1. 자장 1) 자장의 세기 - 자기유도 ㄱ. 자속 +m [Wb]의 자극에서는 언제나 m개의 자기력선이 나온다고 가정하여, 이 선에 의해서 자장의 상태를 표시하는데 이와 같은 자기력선을 자속(Φ)이라고 합니다. 단위는 자극의 세기와 같은 [Wb]를 사용합니다. ㄴ. 자속밀도 자속의 방향에 수직인 단위 면전 1 [m^2]을 통과하는 자속수를 말하며, B로서 나타냅니다 단면적 A [m^2]를 통과하는 자속이 Φ [Wb]이면 자속밀도 B는 다음과 같습니다. B=Φ/A [Wb/m^2] 자속밀도의 단위는 [Wb/m^2] 또는 이와 동등한 테슬라 [T]가 사용됩니다. ㄷ. 자속밀도와 자장 자장의 크기 H [A/m]와 자속밀도 B [Wb/m^2]의 사이에는 다음 관계가 성립합니다. * 진공(또는 공기) 중에서 : B.. 2023. 5. 3.
또리's 전기이론 19. 커패시턴스2/ 자장 1. 커패시턴스 4) 정전에너지 - 콘덴서로 유입되는 에너지 임의의 시간에서 전하 q가 △t초 동안에 q+△q로 증가한다면 △t초간에 전원 콘덴서에 공급한 에너지 △w는 다음과 같습니다. △w=vi△t=v△q 이 △w에 대한 합이 전체 에너지 W [J]이므로 W=∑△w=∑v△q (삼각형의 전체 면적) W=(1/2)VQ=(1/2)CV^2=(1/2)Q^2/C [J] - 유전체 내의 전장의 에너지 전원에서 콘덴서에 공급된 에너지 W=(1/2)CV^2은 정전에너지로 유전체 내에 저장됩니다. 이떄 유전체의 면적 및 두께를 각각 A, l이라고 하면 E=V/l, Q=CV, Ψ=Q, D=Ψ/A 이므로 유전체에 저장된 전체 에너지 W는 다음과 같습니다. W=(1/2)CV^2=(1/2)QV=(1/2)Q^2/C 따라서 유전.. 2023. 5. 3.
또리's 전기이론 18. 커패시턴스 1. 커패시턴스 1) 정전유도 - 정전유도 대전하지 않은 도체 가까이 대전체를 접근시키면 가까운 부분에 다른 종류의 전하가, 먼 부분에 같은 종류의 전하가 발생합니다. 이떄 발생한 정, 부의 전하는 서로 같습니다. 대전체를 다시 멀리하면 도체에 발생되었던 전하가 처음의 무대전 상태가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정전유도라고 합니다. 정전유도된 도체 B를 손으로 접촉하면 왼쪽의 음전하는 대전체에 끌려 있으나 오른족의 양전하는 대지의 전자와 결합하여 중화됩니다. 이와 같이 대지에 도체를 연결시키는 것을 접지라고 합니다. 2) 커패시턴스와 콘덴서 -커패시턴스(정전용량) 두 장의 도체판(전극)을 마주보게하여 전원에 접속하면, 전원의 양극으로부터는 양전하가, 음극으로부터는 음전하가 각각 m, n 전극 위에 나타나게 됩.. 2023. 5.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