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기사 실기 단답형 문제 정리!
전기공사기사 시험을 준비하기 하신다면 꼭 짚고 넘어가야 하는 단답형 문제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전체적으로 그림에 대한 답안, 짧은 문장이 답인 문제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눈으로 자주 보며 익숙해지는 것 이 좋습니다.
답안은 파란색으로 표기하여 쉽게 보실 수 있도록 정리해 보겠습니다.
실기 단답형 문제는 자주 들여다보고 쉽게 노출하여 자연스럽게 외우는 것이 좋습니다.
정리한 내용을 참고하셔서 좋은 결과를 만드시길 바랍니다.
단답형 문제는 짧기 때문에 5~10문제 정도씩 정리해서 올리려고 하니 많이 찾아봐주세요~
1. 전기설비에 있어서 감전예방의 종류 중 직접접촉에 대한 감전 예방의 확인사항 5가지를 쓰시오.
1) 충전부의 절연에 의한 보호
2) 격벽 또는 외함에 의한 보호
3) 장애물에 의한 보호
4) 손의 접근 한계 외측 시설에 의한 보호
5) 누전차단기에 의한 추가 보호
2. 배전시공 공사관리 공정계획서 작성에서 공정계획은 지정된 기간 내에 공사를 안전하고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주요 사항 등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공정에 차질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그 주요사항 5가지를 쓰시오.
1) 현장여건에 따른 시공순서
2) 공정별, 구간별, 작업계획(주간, 심야, 가공, 지중공사 등)
3) 현장에 투입되는 공정별 작업인원수
4) 공정별 소요자재 출고 및 운반
5) 장비, 기계 공기구의 종류, 수량 등의 준비 및 사용법
3. 요구하는 접지의 목적과 접지저항값을 얻기 위해서는 대지의 구조에 따라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는 접지공법을 채택하여야 한다. 접지공법을 대별하면 봉상접지공법, 망상접지법(mesh 공법), 건축 구조체 접지공법이 있다. 이 중 봉상접지공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1) 심타공법 : 접지봉을 지표에서 타입 하는 방법으로 접지봉을 직렬 접속하는 방법
2) 병렬접지공법 : 독립 접지봉을 여러 개 묻고 각 접지봉을 병렬로 연결하는 방법
4. 감전의 위험이 있는 전기시설의 부위에는 전기의 가압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활선 표시장치 등을 각 상에 부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 활선 표시장치의 권장 설치장소 3곳을 쓰시오.
1) 수전점 개폐기의 전원 측 및 부하 측 각상
2) 분기회로 개폐기의 전원측 및 부하측 각상
3) 변압기 등의 전원측 및 부하측 각상
5. 조명설비의 조도는 시간이 경과하면 광속저하, 램프 조명기구의 오염 및 실내면의 반사율 저하로 조도가 감소하는데 설계 시 이러한 조도의 감소를 감안하여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실제보다 높은 조도레벨로 설계를 하게 된다. 이때 적용되는 보정계수는 무엇인지 쓰시오.
- 감광보상률
전기공사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외우고 가셔야 하는 단답형 문제들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다른 전기공사기사 시험문제들도 정리하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공사기사 실기 단답형 문제 정리 - 20 (1) | 2023.08.20 |
---|---|
전기공사기사 실기 단답형 문제 정리 - 19 (0) | 2023.08.19 |
전기공사기사 실기 단답형 문제 정리 - 17 (0) | 2023.08.17 |
전기공사기사 실기 단답형 문제 정리 - 16 (0) | 2023.08.16 |
전기공사기사 실기 단답형 문제 정리 - 15 (0) | 2023.08.15 |
댓글